
문화예술경영 MBA는 실전에 강한 문화산업리더 양성을 목적으로 개설된 MBA 과정입니다. 문화예술경영 트랙은 문화가 경쟁력인 현재와 미래를 선도할 리더 양성을 목적으로 하여, 문화콘텐츠 제작의 PLAN -DO -SEE에 필요한 경영 지식을 사례 및 제작실무 과정과 병행하여 균형 잡힌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이와 같이, 이론과 실무가 결합된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성공적인 미래를 위한 소양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합니다. 브로셔 다운받기
과정소개
과정명 | 문화예술경영 트랙 |
---|---|
수여학위 | MBA(경영학 석사) |
모집대상 | - 문화, 예술, 엔터테인먼트 산업 종사자 및 동 산업 분야에 진출을 희망하는 분들 - 문화기업의 현직 관리자 - 문화예술 분야의 공공기관, 국책연구원, 정부부처의 임직원 |
졸업요건 | 45학점(15과목) |
과정기간 | 2년(4학기) - 주중 야간, 토요일 수업 개설 - 학업과 직장생활 병행 가능 |

구분 | 1학기 | 2학기 |
---|---|---|
1학년 | 4과목 | 4과목 |
2학년 | 4과목 | 3~4과목 |

- 글로벌 무한 경쟁의 시대에 문화콘텐츠는 국가의 중요한 경쟁력일 수 있습니다. 한류로 통합되는 문화콘텐츠 강국으로써 이러한 경쟁력을 지속시키고 확대하여 나가야 할 것 입니다. 이를 위해서는 문화산업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, 경영의 주요 이슈들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접근방법을 갖춘 문화경영인을 육성하고자 합니다. 이론과 실무가 결합된 차별화된 교육과정을 통해 성공적인 미래를 위한 소양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합니다.
특징
- 문화, 예술,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인력에게 특화된 총체적 경영교과과정
- 특화과정 : 일반 경영과정과의 차별화
예) 문화산업 회계 및 세무
- 이론과 실무가 결합된 교육과정 / 이론과 실무에 관련된 지식을 병합한 교육과정 / Field-Oriented Curriculum / Case Study 등 포함
- 경영 외에도 법 및 제도 / 글로벌 경영 등 필요 경영 소양의 완성
- 전략적 시장에 대한 이해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기획/제작/유통역량의 강화
- 기타 경영소양 및 법제, 윤리 등에 대한 기본 역량 구축

과정명 | 졸업학점 | 기타 졸업이수 요건 |
---|---|---|
문화예술경영 | 45학점 (B0 이상) |
1. 문화예술경영 전공선택 중 8과목 이상 수강 2. 위 24학점 외 잔여학점(21학점)은 글로벌 MBA 과정 개설과목 중 선택수강 가능 |

전공과목 | 추천과목 | 시간 | 학점 |
---|---|---|---|
문화산업의 이해 | 경영전략 | 3 | 3 |
문화산업의 회계 및 세무 | 글로벌경영과 마케팅전략 | 3 | 3 |
문화콘텐츠 기획과 유통 | 글로벌 경영전략 | 3 | 3 |
문화콘텐츠 투자론 | 소비자행동 | 3 | 3 |
영상콘텐츠 제작실무 | 광고판촉론 | 3 | 3 |
무대콘텐츠 제작실무 | 서비스마케팅 | 3 | 3 |
문화산업 법과 규제 | 서비스운영관리 | 3 | 3 |
마케팅관리A |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| 3 | 3 |
문화산업경영 세미나I | 조직관리 | 3 | 3 |
문화산업경영 세미나II | 협상과 갈등관리 | 3 | 3 |
문화산업경영 세미나III | 3 | 3 | |
조직행동A | 3 | 3 | |
제작 및 경영사례분석 | 3 | 3 | |
문화산업경영전략 | 3 | 3 | |
문화콘텐츠 사업계획수립 및 사업성분석 | 3 | 3 | |
프로젝트 파이낸싱과 투자분석 | 3 | 3 | |
신흥시장과 문화산업 | 3 | 3 |
